하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맨발걷기 특히 중년에서의 맨발걷기에 대해 얻는 것 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고 입을 모았다.
에스엘서울병원 김도훈 원장(정형외과 전문의)은 “일반적으로 발바닥은 신체의 하중을 바닥에 전하는 구조물로 하중을 버티기 위한 지방 패드로 이루어져 있는데, 야생 동물들에 비교할 때 신발을 신는 사람의 지방 패드는 부드럽고 물렁하게 유지된다. 이 지방패드는 나이가 들수록 지방의 위축에 따라 얇아지기 때문에, 이 때 신발을 신지 않고 단단한 바닥을 걷는다면 더욱 족저근막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”고 우려했다.연세사랑병원 정형외과 한준우 과장(족부 전문의)도 “신발 밑창이 체중의 부담을 나눠주는데, 이것이 없으면 발바닥 근육 및 관련 부위의 관절에도 그만큼 부담이 갈 수 밖에 없다”며 “이로 인해 족저근막염, 지간신경종, 종자골염 등의 족부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며, 이외에도 발목, 무릎, 허리, 척추 등의 관절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”고 말했다.맨발걷기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발바닥 피부 상처도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부분 중 하나다. 김도훈 원장은“ 외부의 길에서는 세균들이 대부분 동물의 분변에서 기인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에 유입되었을 때 심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”고 우려하면 “발에 편한 신발을 신고 자기의 수준에 맞게 시간을 조절하면서 걷는 것이 가장 건강한 방법”이라고 말했다.한준우 과장은 “당뇨가 있을 경우 발바닥 상처는 당뇨발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부를 수 있다”며 “차라리 위생적인 환경에서 발바닥 지압이나 마사지 등으로 맨발걷기와 같은 이점을 얻기를 바란다”고 당부했다.http://www.healthin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1000
http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28/0002658694?sid=104
조기원 기자 garden@hani.co.kr
.
‘비공식작전’은 5만 9436명의 관객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2위를, 누적 관객수는 75만 9619명이다. 이 같은 흥행 추세라면 손익분기점인 600만 고지를 넘기는 어려워 보인다.쌍천만 김용화 감독의 ‘더 문’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. 같은 날 2만 3854명의 관객을 끌어 모아 누적 관객수는 38만 4791명을 기록 중이다. 약 640만명으로 알려진 손익분기점을 넘기엔 터무니 없는 성적표, 흥행 속도다. 개봉 전 98%를 기록했던 CGV 에그지수도 86%로 급락했다. 빅4 가운데 단연 최하다.더군다나 이들의 배급사인 쇼박스·CJ ENM은 지난해에도 ‘비상선언’과 ‘외계+인’ 1부로 각각 대작의 흥행 참패의 고배를 마셨다. 올 여름 야심찬 반격에 나섰으나, 현실은 냉혹했다.
후략
http://naver.me/F0tjyatz
1950년대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인근 핵실험 투어를 광고하는 포스터.